[대한일보] 전태일기념관,“전태일 정신,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져야”
- 관리자
- 2025.07.26
- 조회수 71

전태일기념관,“전태일 정신,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져야” 전태일재단·기념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노동정책 환영 성명 [대한일보=윤종대 기자] 전태일재단(이사장 박승흡)과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관장 전순옥)은 24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밝힌 노동존중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과 제도개선 의지를 환영하며, “전태일 정신이 사회적 변화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를 통해 “죽으려고 일하는 사람은 없다”며 산업재해 은폐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재확인하고, 노조법 2·3조 개정(일명 ‘노란봉투법’)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아울러 전태일 분신일인 11월 13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서울 지하철 종로3가역을 ‘전태일역’으로 명명하는 방안도 언급했다. 특히 김 장관의 “재해자의 불안전한 행동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라는 발언에 대해 전태일재단 측은 “산업재해의 구조적 원인을 외면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로 읽힌다”고 말했다. 그는 “산재는 숨긴다고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속이 아닌 구조개선이 핵심임을 다시금 확인시켜줬다”고 평가했다. 재단과 기념관은 “산업재해 예방과 비정규·하청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실질적 제도개선이 더는 미뤄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국회에 △산재 은폐 무관용 원칙과 함께 예방 중심의 시스템 혁신 △노조법 2·3조 개정을 통한 간접고용·하청노동자의 권리 보장 △‘전태일역’ 명칭 변경과 11월 13일 국가기념일 제정을 통한 사회적 기억의 제도화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재단 측은 “노조법 개정은 무권리 상태에 놓인 간접고용·하청 노동자들에게 최소한의 법적 보호장치를 마련하는 일이며,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될 사회적 책무”라며 “국회는 책임 있는 입법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전태일 정신을 기리는 명칭 변경과 국가기념일 제정은 상징을 넘어 실질적 실천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태일이라는 이름이 시민들의 일상에 스며들어, 노동의 가치를 되새기고 기억하는 사회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김영훈 장관에 대해서는 “현장 노동자 출신으로서 누구보다 일터의 현실을 잘 아는 인물”이라며 “그 진정성이 법·제도 개선과 정책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 후보에 대해 도올 김용옥 선생이 “전태일이 살아온 것 같다”고 말한 일화를 인용하며, 재단 측은 “전태일이 남긴 ‘나를 아는 모든 나여, 나를 모르는 모든 나여’라는 외침은 고립된 개인이 아닌, 서로를 향한 연대의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재단과 기념관은 앞으로도 “‘모든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위해 제도 개선과 현장 실천에 앞장설 것”이라며 “전태일 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공간, 시민과 노동자가 함께 기억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 대한일보(https://www.daehanilbo.co.kr)
https://www.daehan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734